Surprise Me!

[아는 기자]누리호 발사 의미…발사 성공 결정적 요인?

2022-06-21 1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경제산업부 조현선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누리호 발사 성공, 뭔가 뿌듯하고 자랑스러운 일인데, 얼마나 대단한 건가요? <br><br>우리가 만든 발사체에 우리 위성을 넣어 우리가 직접 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. <br> <br>자력으로 실용 위성을 발사한 7번째가 국가가 되는데요. <br> <br>2013년 3차 발사에서 성공한 나로호의 경우 1단 엔진을 러시아에서 들여왔습니다.<br> <br>발사체 제작과 시험, 발사 운용 기술도 러시아와 공동 개발했는데요. <br> <br>이번엔 모든 과정을 우리나라 연구진이 해냈습니다.<br> <br>[질문2]지난해 10월 1차 때 실패를 했잖아요. 무엇을 보완해서 성공을 한 건가요? <br><br>네, 누리호 1차 발사 때는 발사체가 목표 궤도인 700km까지는 갔습니다. <br> <br>3단 산화제 탱크의 균열로 산화제가 새어 나가며 실패했는데요. <br><br>이번 발사 땐 산화제가 더 빠져나가지 않도록 헬륨탱크의 하부 고정부를 강화시켜 보완했습니다.<br> <br>지난주엔 2차 발사가 1단 산화제 탱크의 레벨센서 신호 이상으로 연기됐었죠. <br> <br>독자 개발이었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부품을 다시 가져오느라 시간과 비용을 더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부품을 교체해 발사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[질문3]안에 부품이 37만 개가 들어있다고 하는데,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안될텐데, 그 중에 연구진들이 가장 심혈을 기울였다면 어떤걸까요? <br><br>'아파트 17층 크기 발사체를 하늘로 밀어 쏜다' 상상을 해보겠습니다. <br> <br>엄청난 괴력과 부품들이 필요한데요. <br> <br>누리호는 영하 183도의 극저온 액체산소와 3000도 이상의 화염을 견뎌야하는 발사체입니다. <br> <br>말씀대로 37만 개 부품 중 하나의 오차도 용납 안 됩니다. <br> <br>누리호 개발 때 가장 연구진을 괴롭힌 건 누리호의 심장격인 75톤급 엔진의 '불안정 연소'였다고 합니다. <br> <br>설계를 12번 바꿔서 184차례, 1만 8천 초의 연소시험을 한 뒤 해법을 찾았습니다. <br><br>75톤급 엔진 4개를 한몸처럼 묶어서 300t의 추력을 내는 클러스터링 기술도 우리 연구진이 어렵게 구현해 냈습니다.<br> <br>[질문4] 독자개발한 발사체 장점으로 언제든 우리 땅에서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거죠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는 "위성 하나를 쏘더라도 남의 손에 의지해 쏘는 것과 직접 실어나르는 능력을 갖는 건 천지 차이"라고 했는데요.<br><br>해외 발사체에 의존할 필요 없이 비용을 내지 않고 우리가 원할 때 미세먼지 측정 등 다양한 역할의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겁니다.<br> <br>[질문5]전세계 선진국들이 우주 개발에 달려들고 있는데요. 우리 수준은 어느 정도까지 온 겁니까? <br><br>우리나라는 지난 2013년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우주발사체 발사국을 뜻하는 '스페이스클럽'에 이미 가입했는데요. <br> <br>우리나라는 11번째 가입국입니다. <br> <br>인류가 1957년 최초 인공위성을 우주에 보낸지 65년만에 우리도 성공한 건데요 <br> <br>러시아와 미국, 유럽과 중국, 일본, 인도에 이어 1t 넘는 실용 위성을 쏠 수 있는 나라가 됐습니다. <br> <br>또 12년간 2조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된 누리호 발사엔 국내 300여 기업이 참여했는데요. <br> <br>우리나라는 후발주자지만 이번 발사를 기점으로 미국처럼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이 활성화 될 것이란 기대도 나옵니다.<br> <br>[질문6]이제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할 누리호 다음 개발은 뭔가요? <br><br>당장 오는 8월, 국내 최초 달 탐사선 '다누리' 발사가 예정돼 있습니다. <br><br>또 내년 발사를 목표로 한 누리호 3호기는 현재 조립 중인데요. <br> <br>2027년까지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실은 누리호를 4차례 더 추가 발사해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될 전망입니다.<br> 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조현선 기자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